GEO와 SEO 용어 정리
💡 GEO 완벽 가이드
이 글은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완벽 가이드 와 연관된 내용입니다. 체계적인 GEO 전략과 실행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GEO와 SEO 용어 정리
1. 용어 정리의 필요성
SEO와 GEO는 비슷해 보이지만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SEO 실무자들이 GEO를 처음 접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용어다.
"클릭"을 중심으로 한 지표와, "답변 속 언급"을 중심으로 한 지표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전략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용어 정리는 GEO를 이해하는 첫걸음이다.
2. SEO 주요 용어
2.1 CTR(Click-Through Rate)
특정 키워드 검색 결과에서 노출 대비 클릭 비율.
SEO에서 가장 기본적인 KPI다.
2.2 Bounce Rate
방문자가 웹페이지에 들어왔다가 추가 행동 없이 바로 나가는 비율.
사용자 경험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다.
2.3 Backlink
외부 웹사이트가 내 사이트로 연결한 링크.
구글에서 권위를 측정하는 핵심 요소다.
2.4 E-E-A-T
Experience(경험), Expertise(전문성), Authoritativeness(권위성), Trustworthiness(신뢰성).
구글이 콘텐츠 품질을 판단할 때 참고하는 핵심 기준이다.
3. GEO 주요 용어
3.1 Citation Frequency
특정 브랜드가 AI 답변에 얼마나 자주 언급되는가를 측정하는 지표.
3.2 Share of Answer
특정 질문군에서 우리 브랜드가 차지하는 답변 점유율.
SEO의 '시장 점유율'에 대응되는 GEO 핵심 지표다.
3.3 Topical Authority
웹사이트가 특정 주제에 대해 얼마나 전문적이고 일관되게 다루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
구글 문서 유출에서도 중요한 순위 요소로 확인된 바 있다.
4. SEO vs GEO 비교
| 항목 | SEO | GEO |
|---|---|---|
| KPI | 클릭률, 트래픽 | 답변 언급률, 점유율 |
| 전략 | 키워드 최적화, 백링크 | 질문 기반 콘텐츠, 신뢰 신호 |
| 핵심 도구 | GSC, GA4 | AI 인용 추적 툴 |
| 위험 요소 | 낮은 CTR | 답변 제외, 언급률 저조 |
5. 결론
SEO와 GEO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SEO가 기반이라면, GEO는 확장이다.
한국 실무자들은 이제 "클릭 중심 지표"와 "답변 중심 지표"를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
작가 소개: 손승완
저는 '제로클릭의 시대가 온다'의 저자 손승완입니다. 저는 넥슨과 라인, 이스트 등 IT 업계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하고 있는 Product Owner 입니다. 현재 출간 이후 강연과 연재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