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란 무엇인가?
💡 GEO 완벽 가이드
이 글은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완벽 가이드 와 연관된 내용입니다. 체계적인 GEO 전략과 실행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GEO란 무엇인가?
1. 배경: 검색 패러다임의 대전환
지난 20년간 디지털 마케팅의 중심에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가 있었다.
SEO는 구글과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에서 상위 노출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만드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생성형 AI(ChatGPT, Gemini, Claude, Perplexity 등)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사용자의 검색 행동이 크게 바뀌고 있다.
이제 많은 사용자가 "구글에서 검색 → 링크 클릭"이 아니라, "AI에게 직접 질문 → 즉시 답변"의 방식을 선호한다.
이 변화를 제로클릭(Zero Click) 현상이라고 부른다. 클릭이 사라지고, 답변이 곧 검색의 결과가 된 것이다.
2. GEO의 정의
GEO(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최적화 전략이다.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AI가 답변을 만들 때 우리 브랜드가 자연스럽게 포함되도록 하는 최적화 전략"**이다.
GEO는 단순히 키워드를 삽입하거나 링크를 노출시키는 전략이 아니다.
AI가 답변을 생성할 때 참고하는 수많은 웹문서, 데이터, 리뷰, 전문가 글 중에서 브랜드가 신뢰할 만한 출처로 인용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GEO의 KPI는 클릭률(CTR)이 아니라 AI 답변 속 브랜드 언급률(Citation Frequency), **답변 점유율(Share of Answer)**이다.
3. SEO, AEO, AIEO와의 차이
3.1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목표: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SERP)에서 상위 노출
- KPI: 클릭률(CTR), 트래픽, 전환율
- 방식: 키워드 최적화, 백링크, 온페이지·오프페이지 SEO
3.2 AEO (Answer Engine Optimization)
- 등장 배경: 음성 검색, 구글의 Answer Box, FAQ 블록
- 특징: 질문-답변 구조에 맞춘 FAQ 콘텐츠 제작
- 한계: 여전히 전통적 검색엔진 위주의 접근
3.3 AIEO (AI Engine Optimization)
- 개념: AI 검색엔진 전반에 대응하는 전략
- 문제: 정의가 넓고 추상적이어서 실무 적용이 어렵다
3.4 GEO (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
- 특징: AI가 답변을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겨냥
- 초점: AI 답변 속 브랜드 언급과 신뢰도 확보
- 장점: 실제 ChatGPT, Perplexity 등 모델별 테스트를 통해 정량적 측정 가능
4. 사례: SEO와 GEO의 다른 결과
예를 들어 "한국에서 추천할 만한 클린 스킨케어 브랜드는?"이라는 질문을 AI에게 던졌다고 하자.
- SEO 관점: 특정 브랜드가 구글 검색 1위 페이지에 올라 있을 수 있다.
- GEO 관점: 그러나 ChatGPT나 Gemini는 그 브랜드를 답변에 언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 실험 결과, SEO 상위 노출이 GEO 성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Perplexity는 비교적 검색 상위 페이지를 잘 반영했지만, ChatGPT(11%), Gemini(8%)에서는 언급률이 매우 낮았다.
이 차이가 바로 SEO와 GEO의 간극을 보여준다.
5. GEO의 전략적 중요성
- SEO만으로는 부족하다: SEO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클릭 중심 지표는 AI 시대에 한계가 있다.
- AI가 선택하는 브랜드가 된다: 사용자는 이제 링크를 클릭하지 않는다. 대신 AI가 추천하는 브랜드를 곧바로 신뢰한다.
- 브랜드 신뢰 자산 구축: AI는 경험, 전문성, 권위, 신뢰(E-E-A-T)를 기반으로 답변을 만든다. GEO는 이를 데이터와 콘텐츠로 증명하는 과정이다.
6. 결론: "클릭의 게임 → 답변의 게임"
SEO 시대는 클릭을 많이 받는 것이 목표였다.
GEO 시대는 답변 속에 포함되는 것이 곧 생존과 성장의 기준이 된다.
즉, SEO가 "클릭의 게임"이었다면, GEO는 "답변의 게임"이다.
앞으로 브랜드의 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클릭했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질문에서 우리 브랜드가 답변으로 등장했는가"로 측정될 것이다.
작가 소개: 손승완
저는 '제로클릭의 시대가 온다'의 저자 손승완입니다. 저는 넥슨과 라인, 이스트 등 IT 업계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하고 있는 Product Owner 입니다. 현재 출간 이후 강연과 연재를 하고 있습니다.